티스토리 뷰

반응형

미세먼지가 자주 찾아오면서 겨울철 건강관리에 비상입니다. 오늘도 날씨를 보니 오후 부터는 추워지면서 미세먼지도 상황이 좋지 않았습니다.


기상청은 올겨울 대륙성 고기압이 약해지면서 겨울 평균기온이 상승해 미세먼지가 자주 찾아올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우리나라 겨울 날씨에 영향을 주는 대륙성 고기압은 추위를 몰고 오는 대신 미세먼지를 쓸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올해는 고기압이 약해지면서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게 된다는 것입니다. 특히 초겨울부터 발달한 엘리뇨는 한반도에 부는 계절풍을 약하게 만들어 대기 정체 현상을 심화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이 때문에 최근 들어 '사흘 추우면 나흘은 미세먼지가 온다'는 '삼한사미(三寒四微)'라는 신조어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미세먼지가 눈, 피부, 호흡기를 비롯해 심뇌혈관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자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를 '신종담배'라고 표현하며 그 위험성을 강력하게 경고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미세먼지는 호흡기 질환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지만 안구에 훨씬 치명적입니다. 미세먼지가 결막에 닿으면 안구 표면이 손상되고 눈물이 말라 안구건조증, 각막염 등 안질환이 쉽게 발생합니다. 


안구건조증과 각막염은 눈의 뻑뻑함, 눈부심, 시림과 이물감 등 자극 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눈을 뜨기 힘들고 시력 저하나 실명으로까지 악화됩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눈이 건조한 상태라고 여겨 방치하기 쉽지만, 눈 안쪽에도 염증이 진행되는 각막궤양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각막 두께는 중심부가 약 0.5㎜에 불과하기 때문에 각막조직이 염증 반응에 의해 녹거나 각막궤양이 악화돼 각막천공이 일어나 실명하기도 합니다. 각막염은 눈의 검은자 부위를 덮은 볼록한 각막에 감염이나 알레르기 등으로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합니다. 


각막염은 전체 환자 중 여성이 63%로 남성보다 약 1.7배 많다. 특히 10·20대 여성 환자가 많은데 이는 서클렌즈나 콘택트렌즈 사용률이 높은 것이 원인입니다. 각막염은 염증 상태가 만성화되면 치료 후에도 각막 혼탁으로 영구적인 시력 저하가 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에 안과를 방문해 정확한 검사와 신속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안과에 가면 안구염증이 있든 없든 인공누액이나 소염제를 처방하는 곳이 많지만, 전문의들은 인플라마드라이(InflammaDry) 검사를 하라고 조언합니다. 




인플라마드라이는 검결막(아래 눈꺼풀 안쪽)에서 소량의 눈물 샘플을 채취해 염증 생체 표지자인 단백분해 효소(MMP-9·Matrix Metalloproteinases-9) 농도를 측정해 임신 진단처럼 10분 안에 염증성 안구건조증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구에 염증이 있으면 MMP-9이 올라갑니다. 이 진단법은 미국·캐나다·독일 등 약 30개국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태영 삼성서울병원 안과 교수는 "염증이 실제로 없지만 의심된다고 정확한 진단 없이 소염제나 인공누액을 남용하면 심각한 안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인플라마드라이 검사가 장기적으로 보면 환자에게 이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국내에서 기존 건성안 가운데 진행되는 염증이 있는 건성안 비율은 최근 몇 년 사이 미국(40~60%)보다 높은 55~70%로 추산됩니다. 미세먼지는 심혈관질환을 유발한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습니다. 


대한심장학회는 최근 학술대회를 통해 미세먼지와 심혈관질환의 관련성을 논의하기도 했습니다.  최규영 에이치플러스(H+)양지병원 순환기내과 과장은 "특히 입자가 작은 초미세먼지는 폐에서 걸러지지 않고 혈액으로 침투해 심장과 중추신경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체내에 유입되기 쉬운 반면 배출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평소 미세먼지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체내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세 먼지가 많아지는 요즘 제일 좋은건 밖에 나가지 않는 것인데 살면서 그럴 수는 없고 난감 하네요 세계적 관심사가 피브에 직접적으로 와 닿는 느낌이 이런 것 일까요?

반응형